TITLE ON OBJECT: Racer, Schererville, Indiana
1965
gelatin silver print
23.3 x 34.5 cm.
TITLE ON OBJECT: Four Boys, Uptown, Chicago
1965
gelatin silver print
25.9 x 25.8 cm.
TITLE ON OBJECT: Racers, McHenry, Illinois
1965
gelatin silver print
23.5 x 34.5 cm.
TITLE ON OBJECT: Young man, Hyde Park, Chicago
1965
gelatin silver print
34.3 x 22.9 cm.
TITLE ON OBJECT: Three young men, Uptown, Chicago
1965
gelatin silver print
26.2 x 26.3 cm.
TITLE ON OBJECT: Renegade's funeral, Detroit
1966
gelatin silver print
16.1 x 23.8 cm.
TITLE ON OBJECT: Route 12, Wisconsin
1963
gelatin silver print
16.0 x 23.7 cm.
TITLE ON OBJECT: The ruins of 100 Gold Street
ca. 1967 / print ca. 1970
gelatin silver print
25.2 x 25.3 cm.
TITLE ON OBJECT: New arrivals from Corpus Christi
ca. 1967-68
gelatin silver print
19.5 x 28.8 cm.
TITLE ON OBJECT: Main corridor
ca. 1967-68
gelatin silver print
19.4 x 29.0 cm.
DESCRIPTIVE TITLE: Prison yard, Texas
ca. 1967-68
gelatin silver print
19.6 x 28.9 cm.
TITLE ON OBJECT: Hoe sharpener and the Line
ca. 1967-68
gelatin silver print
19.4 x 28.9 cm.
TITLE ON OBJECT: Children in the graveyard, Santa Marta, Colombia
1972
gelatin silver print
22.6 x 34.0 cm.
오늘날 사진의 흐름은 복잡하고도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비록 근래에 와서 사진 예술의 경향이 자기 표현과 형태미를 중시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긴 하지만
사진의 뚜렷한 존재 가치는 역시 보도 사진(Photojournalism)에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1936년 이후부터 시작된 사진의 황금기를 거쳐 60년대까지 가장 재능있는 사진작가들은 보조 사진에 입각한
대중성이 강한 기록 사진 제작을 활동의 주된 영역으로 삼았다.
때문에 보도 사진이 현재까지 계속 개인적이며 예술지향적인 사진 창작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은
필연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보도 사진의 사명은 생생한 충격, 정의, 명료함, 단순성 그리고 보편타당성과 객관성에 의해 편견 없이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해야 하는 것이지만,
보도 사진은 정치적 혹은 이념적인 주장을 표현하기 쉬운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때문에 사진작들은 갈등하게 되었고 이 갈등은 보도사진의 새로운 표현방식을 영구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데니 라이언(Danny Lyon)과 찰스 하버트(Charles Harbutt), 알렉스 웹(Alex Webb),
버크 위즐(Burke Uzzle), 브루스 데이비드슨(Bruce Davidson)등은
이러한 사진기자의 길을 걷고자 하는 사진작가들이다. 이들은 현실과 영상 사이에서 마치 곡예사가 줄을 타는 것
처럼 어느 한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선상으로 가고자 노력하는 사진작가들이다.
데니 라이언은 1942년 뉴욕에서 출생했고 뉴욕에서 성장한 뉴욕토박이이다.
그는 시카고대학 재학 시절에는 역사학을 전공했지만
후에 사진작가의 길을 걷게 된 이단자이다.
1962년 자동차로 서부 지역을 여행하던 중에 사막에 서 있는 콘테이너 화물차를 촬영한
사진이 대학 예술제에 당선된 것이 사진작가로 전향한 숙명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 후 사진에 열을 올리게 되었고 능력을 인정받은 라이어는
1963년에 비폭력 학생 연합(SNCC: Student Nonviolenting Coordinating Committee)의
고정 사진작가로 발탁되어 흑인들이 많은 남부 지역에서 사진을 촬영하게 되었다.
그의 사진들은 주로 시위, 농성, 연좌 등에 관한 사진으로
(운동 The Movement)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다.
1965년에는 시카고로 돌아와 가난한 소년들의 생활상과 인물 사진을 촬영하여
(시카고 주택지구 Uptown Chicago)를 발표했고,
시카고 오토바이 클럽에 가담하여 그들의 생활 모습을
기록하여(폭주족들 The Bikeriders)이라는 작품집을 발표했다.
1966년에는 콜롬비아를 여행하여 창녀들의 생활을 컬러로 찍어 발표했다.
1969년에는 맨해턴 무역 센터을 건립하기 위해 철거되는 서민 주택과 그곳의 인간상을
뷰 카메라(주름상자가 있는 대형 카메라)로 촬영하여
(맨하턴 하층부의 파괴 The Destruction of Lower Manattan) 를 발표했다.
1967년에서 1968년까지는 텍사스 감옥의 죄수 생할을
‘죽음과의 대화(Conversation whth the Dead)’라는 주제로 엮어 발표했다.
1970년에는 지금까지 작업한 그의 사진을 엮어 회고전과 함께
작품집(새로운 세계의 정경 Pictures from the New World)을 출간했다.
그는 자유분방하게 변모해가는 미국의 현실 속에 몸을 던지고 스스로 그 생활 속에서
자아를 비판하며 촬영한 현실파 사진작가이다.
1981년에 발표한(페이퍼 네거티브 The Paper Negative)에서는 멕시코 소년을 통해
멕시코 농민의 개인적이고 무의식적인 의도,
그리고 사진 속에서 커다란 힘을 가지고 긴장을 일으키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을 담았다.
라이언 사진의 이미지가 의미면에 있어서 정치적이고 보편적인지 혹은 개인적이며
사적인 것인 것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도 있지만
그의 생활상을 인본주의적 입장에서 생생하게 기록하여 보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그의 작업 과정을 검토해 보면 거의 모든 주제가
미국의 격렬한 시대적인 과도기와 전통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것은 데니 라이언 자신의 속죄와 번민으로 뭉쳐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제는 자신이 나아가고자 하는 사진의 방향과 일치했을 것이다.
사진 작업 과정에서 인식되었던 것과 그 사진이 전달한 것 사이의 충돌은
그의 객관적이고 의식적인 의도와,
사진을 찬찬히 깊이 분석하면 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사진은 보도사진의 경향이 강한 사진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서
80년대 초에는 그의 가족들과 친구들을 촬영하여 인간적이고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사진으로 변하기도 했다.
이 사진은 그의 강렬하고 냉소적인 이전의 사진과 비교됨으로써
그의 사진의 양면성을 잘 보여 주었다.
그러나 외부 세계에 있는 그 많은 사진의 주제들에 대해 잠자코
편안하게 있을 수 없는 것이 그의 마음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박차고 있어나 또다시 격변의 지구촌 한 모퉁이로 뛰어들어간다.
중남미의 고질적인 정치적 갈등은 그의 사진의 주요한 주제로 떠오르게 된다.
쿠바의 공산화 이후 중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독재정권에 항의하는
좌익세력과 정부군 사이의 내란으로 진통을 겪고 있었다.
이들 상당수의 나라 국민들은 미국의 권좌에 대해서 회의적이었으며
그들의 민족적이고 인간적인 열망에 의해 참다운 해방자의 위치에 서고자 했다.
이들이 이러한 방향으로 가려고 고집스럽게 주장하는
이유는 중남미의 모든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모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모순은 독재 정권에 의해 민주화를 역행시키고 그들에 의해 자행된 부정부패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국민들의 생활 여건이 침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으로 지적된다.
그 본보기로 아이티의 독재자 뒤발리에를 들 수 있다.
그 독재와 장기 집권은 국민들 사이에 불신감이 가득 차게 했다.
작은 도시 ‘군나이브(Gonaives)’에서부터 수도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까지
자동차 범퍼에 독재 타도 스티커를 붙이는 것으로 시작된 아이티의
2월 혁명은 데니 라이언으로 하여금
1986년 2월을 사진의 주제로 선택케 하였다.
독재 타도를 외치는 시위는 1986년 1월에 시작하여 2월에 절정에 달했고 3월에 끝났다.
데니 라이언은 이 3개월 간을 그곳에 머물면서 기록하였다.
그는 단지 사건의 현장을 기록하는 사진기자로서 보도를 위한 현장을 기록하는
사진기자로서 보도를 위한 자료 사진만을 찍는 데 국한하지 않고
그 나라의 역사성과 사회 환경을
서술적으로 담아 나가면서 1월부터 3개월 간 일어난 상황을 긴박감 넘치는
현장 사진으로 기록하고 아이티 국민들이 평온을 되찾아
그들의 일상생활로 되돌아가기까지의 과정을 촬영하여 날짜 순서대로 엮어가고 있다.
이런 작업 방식은 과거 사진 저널리즘(graph-journalism)에서 개가를 올렸던
유진 스미스(Eugene Smith)의 사진 수상록(photo-essay)과 사진 이야기(photo-story)가,
촬영한 사진의 시간적 순서를 자유로이 견경시켜 극적인 효과를 거두도록
재구성함으로써 사진의 진실성을 변경시켜
오도했다는 생각에서 비롯됐다.
그리하여 그는 진실한 시간의 흐름(real time)을 추구하기 휘해서
그가 종전에 출판했던 작품집의
구성과는 달리(고맙다, 군나이브 Merci Gonaives)에서는
혁명 이전의 조용한 환경에서 시작하여
사건의 연속적인 순서 그리고 조용한 그들의 생활로 되돌아온 예전의
환경을 보여주어
“이 나라에 다시는 혁명이 없을 것이다”하고 부르짖는
목소리를 듣는 것 같은 착각마저 느끼게 한다.
데니 라이언의 최근작업(고맙다, 군나이브)는 그가 과거 발표한 많은 정치색 짙은 보도
사진의 성격을 띤 사진인 듯하면서도 아이티를 주제로 한 서사시적인 영상
전개로 변모한 그런 사진이다.
"Three boys and 'A Train' graffiti in Brooklyn's Lynch Park in New York City."
By Danny Lyon, Brooklyn, New York, New York, July 1974
Three boys and 'A Train' graffiti in Brooklyn's Lynch Park in New York City." By Danny Lyon, Brooklyn, New York, New York, July 1974
Danny Lyon (born 1942), is a self-taught American photographer and filmmaker. He is also credited as an accomplished writer to accompany his photographs. He studied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where he graduated with a Bachelor of Arts degree in 1963.
That same year, he published his first photographs working for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His pictures appeared in The Movement, a d0cumentary book about the Southern Civil Rights Movement.
Later, Lyon began creating his own books. His first, was a study of outlaw motorcyclists in the collection Bikeriders (1967), where Lyon did more than just photograph motorcyclists in the American Midwest from 1963 to 1967. Additionally, he also became a member of the Chicago Outlaw motorcycle club and traveled with them, sharing their lifestyle. According to Lyon himself, the photographs were "an attempt to record and glorify the life of the American bikerider." The series was immensely popular and influential in the 1960s and 1970s. During the 1970s, he also contributed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DOCUMERICA project.
The Destruction of Lower Manhattan was Lyon's next work, published by Macmillan Publishers in 1969. The book d0cuments the large-scale demolition taking place throughout Lower Manhattan in 1967. Included are photographs of soon to be demolished streets and buildings, portraits of the neighborhood's last remaining stragglers and pictures from within the demolition sites themselves. The book originally sold for one dollar each, but soon attained the status of a collector's item. It was later reprinted in 2005.
Conversations with the Dead (1971) (ISBN 0-03-085068-1), was published with full cooperation of the Texas Department of Corrections. Lyon photographed in six prisons over a fourteen month period in 1967 to 1968. The series was printed to book in 1971 by Holt publishing. The introduction of Lyon's book points to a statement of purpose that the penal system of Texas is symbolic for incarceration everywhere. He states, "I tried with whatever power I had to make a picture of imprisonment as distressing as I knew it to be in reality."
Lyon befriended many of the prisoners. The book also includes texts taken from prison records, letters from the convicts, and inmate artwork. In particular, the book focuses on the case of Billy McCune, a convicted rapist whose death sentence was commuted to life in prison during the climax of the book's popularity. In the foreword, Lyon describes Billy as a diagnosed psychotic, who one evening, while awaiting execution, "cut his penis off to the root and, placing it in a cup, passed it between the bars to the guard."
All of Lyon's publications work in the style of photographic "New Journalism", meaning that the photographer has become immersed, and is a participant, of the d0cumented subject.
Danny Lyon received the Guggenheim Foundation Fellowship for photography in 1969, and in film making in 1979. He has had solo exhibits at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the Museum of Modern Art,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nd the Center for Creative Photography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He is the founding member of the photography group Bleak Beauty. He was greatly encouraged in his d0cumentary work by curator Hugh Edwards.
'전시회 및 인물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蔣介石(장개석) 장제스 (0) | 2009.09.14 |
---|---|
Ludwig Wittgenstein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20C 최고의 철학자) (2) | 2009.09.04 |
한국의 사진가 홍순태 교수 / 강동구 상1동 작업실 탐방 (6) | 2009.08.25 |
보도사진 조작설/매그넘의 설립자 로버트카파(Robert Capa) /어느 스페인 병사의 죽음 (3) | 2009.08.20 |
니콜라스 닉슨(Nixon, Nicolas)-세계적인 사진작가 (0) | 2009.08.13 |